56억 '영끌 빚투 논란'…김기표 반부패비서관 자진 사퇴
본문 바로가기
사회 생활 뉴스

56억 '영끌 빚투 논란'…김기표 반부패비서관 자진 사퇴

by 오늘맑음🌞 2021. 6. 28.

김기표 청와대 반부패비서관이 임명 3개월 만에 자진 사퇴했습니다. 무려 50억원대 대출을 받아 거액의 부동산을 산 사실이 알려지며 '영끌 투자 논란'이 거세게 일어나면서입니다. 미리 걸러내지 못한 청와대의 부실한 인사검증 역시 또 한 번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김기표 반부패비서관은 대통령께 사의를 표명하였고 문재인 대통령은 사의를 수용하였습니다.

발단은 지난 금요일에 공개된 고위공직자 재산신고 내역입니다.

56억원이 넘는 금융채무와 90억원대 부동산 소유가 알려진 겁니다.

이른바 수십억원대 빚을 내 부동산 투기를 벌였다는 '영끌빚투' 논란이 불거졌습니다.

이중에서도 경기도 광주 송정동 임야 두 필지는 신축 아파트와 고급빌라 단지와 인접해 투기 의혹이 일었습니다.

김 비서관을 둘러싼 의혹은 최근 재산 공개에서 비롯됐다.

김 비서관은 총 39억2천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부동산 재산이 91억2천만원, 금융 채무가 56억2천만원에 달했다.

이 가운데 4천900만원 상당의 경기도 광주 송정동 임야를 놓고 투기 의혹이 일었다. 이 임야는 도로가 연결돼있지 않은 '맹지'(盲地)이지만, 송정지구 개발로 신축 중인 아파트·빌라 단지와 인접해 있다.

또 김 비서관이 송정동 413-166번지(1천448㎡)와 413-167번지(130㎡) 2건의 임야를 신고했는데, 그사이에 위치한 대지를 이번 재산 신고에서 누락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다만 김 비서관은 2건의 임야와 함께 8억2천200만원 상당의 송정동 건물(84㎡)을 함께 신고했다. 김 비서관이 '근린생활시설'로 신고한 이 건물이 신고 누락된 대지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아울러 김 비서관은 '영끌 빚투' 논란에도 직면했다.

김 비서관은 3개 금융기관에서 총 54억6천만원을 대출받은 것으로 신고했고, 이는 서울 강서구 마곡동의 상가 2채(65억원5천만원 상당)를 사들이는 데 쓰였을 것이라는 추정이 나왔다.

김 비서관은 전날 투기 의혹에 대해 "해당 토지는 광주시 도시계획조례로 인해 도로가 개설돼도 개발 행위가 불가능한 지역이고, 자금 사정이 좋지 않던 지인의 요청으로 부득이하게 취득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오해를 드려 대단히 송구하다. 광주 토지 등을 신속히 처분하고자 협의 중"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야당의 경질 요구가 잇따르고 여당 내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는 등 비판 여론은 확산했고, 결국 김 비서관의 사퇴로 이어졌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본인의 해명이 있었지만, 국민이 납득할 수준에 이르지 못했다면 인사권자로서 국민 눈높이에 맞는 조치를 취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밝혔다.

김 비서관의 거취는 주말 새 신속하게 정리됐지만, 부실 인사 검증이 다시 도마에 오르고 있습니다.

김 비서관이 임명된 건 지난 3월 말.

LH 사태로 부동산 민심이 들끓던 시기였습니다.

청와대 내부에서는 비서관급 이상을 대상으로 부동산 투기 전수조사를 벌였습니다.

이전에 없던 잣대를 들이대 내부 단속도 재차 하는 마당에 새로 임명한 고위직이 또다시 부동산 논란에 물러나게 된 겁니다.

이에 대해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인사 검증 당시에는 "투기 목적이 아닌 것으로 판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인사 검증의 한계를 일부 인정하기도 했습니다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